1. .env 파일 생성
- .env.local 파일 생성
- .env.production 파일 생성
NEXT_PUBLIC_SUPABASE_ID=
NEXT_PUBLIC_SUPABASE_URL=
NEXT_PUBLIC_SUPABASE_ANON_KEY=
NEXT_PUBLIC_STORAGE_BUCKET=
SUPABASE_DB_PASSWORD=
SUPABASE_SERVICE_ROLE=
SITE_URL=http://localhost:3000
2. 계정 생성
3. 테이블 생성
public.todos
생성
- id, title, content 칼럼 생성
- RLS 해제
4. Supabase CLI 설치
npm i supabase@">=1.8.1" --save-dev --legacy-peer-deps
npm i --save @supabase/ssr --legacy-peer-deps
npm install @supabase/supabase-js --legacy-peer-deps
npx supabase login
5. 테이블의 데이터 타입 자동으로 생성하기